반응형
고용보험 실업급여는 누구나 동일하게 받는 게 아닙니다.
나이와 고용보험 가입기간
에 따라 지급 일수와 금액이 달라지죠.
이 글에서는 실업급여 수급기간을 계산하는 방법과
2025년 기준 연령별·가입기간별 표를 상세히 알려드립니다.
✅ 실업급여 수급기간이란?
실업 상태에서 받을 수 있는 총 일수 기준의 급여 지급 기간입니다.
단, 무조건 다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고용보험 가입기간과 퇴사 당시 나이에 따라 결정됩니다.
📋 실업급여 수급기간 계산 기준
- 📅 퇴사일 기준 만 나이
- 🗂️ 고용보험 피보험 단위기간(실제 근무월)
👉 만 나이 + 고용보험 가입기간 조합으로 수급일수를 결정합니다.
📊 2025년 실업급여 수급기간 표
가입기간 | 30세 미만 | 30~49세 | 50세 이상 또는 장애인 |
---|---|---|---|
180일 이상 ~ 1년 미만 | 120일 | 120일 | 120일 |
1년 이상 ~ 3년 미만 | 150일 | 150일 | 180일 |
3년 이상 ~ 5년 미만 | 180일 | 180일 | 210일 |
5년 이상 ~ 10년 미만 | 210일 | 210일 | 240일 |
10년 이상 | 240일 | 240일 | 270일 |
예시: 만 52세 & 가입기간 6년 → 수급기간 240일
🧾 수급기간 계산 방법 요약
- ① 퇴사 시 만 나이 확인
- ② 고용보험 가입 누적기간 확인 (고용보험 홈페이지 → 개인 로그인)
- ③ 위 표에 따라 수급일수 확인
⚠️ 수급기간 관련 주의사항
- ✅ 자발적 퇴사자는 수급 대상이 아님 (정당한 사유 예외)
- ✅ 수급기간 동안 실업인정일 출석 및 구직활동 보고 필요
- ✅ 출석 누락 시 수급기간 연장 없이 소멸
🙋 자주 묻는 질문 (FAQ)
Q. 수급기간 중 아르바이트를 하면 어떻게 되나요?
A. 소득이 발생한 날은 제외될 수 있으며, 반드시 고용센터에 사전 신고 필요합니다.
Q. 가입기간은 어디서 확인하나요?
A. 고용보험 홈페이지 또는 고용센터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Q. 수급기간은 유급휴가 포함되나요?
A. 퇴직 후 기준이므로 재직 중 유급휴가 기간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 마무리
실업급여는 나이와 근속 기간에 따라 정해진 수급일수가 존재합니다.
자격만 있다면 한 푼도 놓치지 말고, 정확히 계산해서 수령하세요!
미리 준비하고 고용센터 출석 잘 지키면 안정적으로 수급받을 수 있습니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