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퇴직 후 가장 먼저 챙겨야 할 것은 바로 실업급여입니다.
고용보험에 가입되어 있었다면 조건을 만족할 경우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실업급여 신청 자격부터 신청 절차, 준비서류
까지 처음 신청하는 분들도 이해하기 쉽게 안내해드립니다.
📌 실업급여란?
비자발적 퇴사자
가 구직 활동을 하는 동안 일정 기간 동안 소득을 지원받는 제도입니다.
고용보험에 가입되어 있고, 일정 요건을 충족한 경우에 받을 수 있습니다.
✅ 실업급여 수급 조건
- 🗓️ 이직일 기준 18개월 내 180일 이상 고용보험 가입
- 🛑 비자발적 퇴사일 것 (권고사직, 계약만료 등)
- 💪 근로의사와 능력이 있을 것
- 🔍 적극적인 구직활동을 할 것
🧾 실업급여 신청 절차
- ① 워크넷 회원가입 및 이력서 등록
- ② 고용보험 사이트에서 실업급여 신청
- ③ 고용센터 방문 후 수급 자격 인정 교육 수강
- ④ 실업인정일에 맞춰 구직활동 내용 보고
- ⑤ 지급일마다 실업급여 지급
📌 보통 수급 개시까지는 신청 후 약 2주~3주 소요됩니다.
🧾 실업급여 신청 준비서류
- 📄 이직확인서 (회사에서 고용보험 사이트로 전송)
- 📄 주민등록증 또는 신분증
- 📄 통장사본 (급여 수령 계좌)
- 📄 워크넷 이력서 작성
💸 실업급여 지급 금액과 기간
- 💰 평균임금의 약 60% 수준
- 📆 수급 기간: 최소 120일 ~ 최대 270일 (연령/가입기간에 따라 다름)
⚠️ 실업급여 신청 시 유의사항
- ✅ 반드시 비자발적 퇴사여야 합니다 (사직서 제출 시 불리)
- ✅ 실업인정일에 구직활동 증빙 필요 (2건 이상)
- ❌ 허위 이직, 허위 구직 시 수급 제한 및 환수
🙋 자주 묻는 질문 (FAQ)
Q. 자발적 퇴사도 실업급여 받을 수 있나요?
A. 원칙적으로는 안 되지만, 정당한 사유가 인정되면 가능합니다 (임금체불, 괴롭힘 등).
Q. 신청은 언제까지 해야 하나요?
A. 이직일 다음날부터 12개월 이내에 신청해야 합니다.
Q. 주말에도 신청 가능한가요?
A. 온라인 신청은 가능하지만, 고용센터 방문은 평일만 운영합니다.
📍 마무리
실업급여는 퇴직 후 새로운 도약을 위한 징검다리입니다.
자격이 된다면 망설이지 말고 워크넷 이력서 등록부터 시작해보세요!
소중한 권리, 놓치지 마세요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