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퇴사는 끝이 아니라 새로운 시작입니다.” 하지만 막상 퇴사하고 나면 행정 처리, 생활비, 커리어 등 챙겨야 할 게 많습니다. 오늘은 퇴사 후 반드시 준비해야 할 필수 리스트를 항목별로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1. 퇴사 직후 해야 할 행정 처리
- 📄 퇴직확인서 발급 요청 (실업급여 신청에 필요)
- 💳 4대보험 자격 상실 확인 (건강보험 자격 전환용)
- 📁 연말정산용 소득자료 챙기기 (원천징수영수증 등)
- 📆 마지막 급여/퇴직금 일정 확인
2. 실업급여 신청 방법 (고용보험)
- 🧾 요건: 비자발적 퇴사 + 180일 이상 고용보험 가입
- 📍 신청 장소: 관할 고용센터 또는 온라인 (www.ei.go.kr)
- ⏰ 타임라인: 퇴사 후 1~2주 내 신청 → 수급까지 약 4~5주
- 💰 급여 수준: 평균 임금의 60% 수준, 최대 270일 지급
3. 건강보험 자격 전환
- 🏥 선택지 1: 직장가입 → 지역가입 전환 (자동 처리됨)
- 👨👩👧 선택지 2: 피부양자로 등록 (부모, 배우자 등)
- 📞 문의처: 국민건강보험공단 (1577-1000)
- 💡 TIP: 납부 부담 높을 경우 분할납부 신청 가능
4. 퇴사 후 재무 준비
- 💰 생활비 예산 재정비: 최소 3~6개월치 확보 추천
- 📝 불필요한 정기결제 정리: 구독서비스, 멤버십 취소
- 📉 소득공백 대비 금융상품 확인: 예금, 적금, 비상금 체크
- 📊 퇴직금 활용 계획 수립: 단기 생활비 or IRP 계좌 이체
5. 커리어와 자기관리 전략
- 📚 이직 준비: 포트폴리오 정리, 이력서 최신화
- 🎓 자격증/교육 수강: K-디지털, HRD-Net 활용
- 💼 프리랜서 활동 고려: N잡, 재능마켓 활용
- 🧠 마음관리도 중요: 상담센터, 심리앱 추천
6. 퇴사 후 챙기면 좋은 것들
- 📆 건강검진 일정 체크: 직장가입자 때 혜택 활용
- 📱 연락처 정리: 인맥 유지용 연락처 백업
- 🧾 개인 정보 파기 요청: 이전 회사에 필요시 요청 가능
- 🛫 해외 출국 계획: 건강보험, 실업급여 수급과 충돌 주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