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육아휴직 급여 계산기 사용법|실수령액 계산부터 조건까지 정리

by rimo1 2025. 4. 13.
반응형

 

 

“육아휴직을 신청하면 급여는 얼마나 받을까?” 육아휴직은 고용보험에서 지원하는 법적 보장 제도이지만, 정확한 수령액 계산 방법과 조건은 잘 알려져 있지 않죠. 오늘은 2025년 기준 육아휴직 급여 계산기 사용법실제 계산 예시까지 함께 소개드립니다.

1. 육아휴직 급여란?

육아휴직 급여는 만 8세 이하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의 자녀를 둔 부모가 육아휴직을 사용하는 경우, 정부(고용보험)에서 일정 금액을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 ✔ 지급 주체: 고용노동부 (고용보험공단)
  • ✔ 수급 조건: 180일 이상 고용보험 가입 근로자
  • ✔ 지급 기간: 최대 12개월 (부모 각각 1회 가능)

2. 육아휴직 급여 계산 방법

급여는 월 통상임금의 일정 비율로 계산되며,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적용됩니다.

  • 📌 첫 3개월: 통상임금의 80% (상한 150만 원 / 하한 70만 원)
  • 📌 4개월~12개월: 통상임금의 50% (상한 120만 원 / 하한 70만 원)
  • 📌 2025년 변경사항: 아빠육아휴직 보너스제 상향 적용 중

Tip: ‘통상임금’은 기본급 + 고정 수당으로 구성되며, 세전 기준입니다.

3. 실제 계산 예시

예시) 월급(세전 기준) 300만 원 직장인의 경우

  • 👉 1~3개월: 300만 × 80% = 240만 원 → 상한 적용으로 150만 원 지급
  • 👉 4~12개월: 300만 × 50% = 150만 원 → 상한 120만 원 지급

총 12개월 수령액: (150만 × 3개월) + (120만 × 9개월) = 1,590만 원

4. 육아휴직 급여 계산기 사용 방법

고용보험 홈페이지 또는 고용노동부 앱에서 제공하는 육아휴직 급여 계산기를 사용하면 편리하게 수령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① 고용보험 홈페이지 접속 (www.ei.go.kr)
  2. ② [모의계산] 메뉴 클릭 → [육아휴직 급여 계산기] 선택
  3. ③ 통상임금 입력 → 예상 수령액 자동 계산
  4. ④ 부부 중 신청자 선택 가능 (아빠육아휴직 보너스 반영)

모바일 앱 ‘고용노동부 정책마당’에서도 동일 기능 제공

5. 육아휴직 신청 시 유의사항

  • 📄 회사에 최소 30일 전 사전 신청 필수
  • 📌 육아휴직 급여는 근로자 직접 신청 (회사에서 대리 신청 불가)
  • 📱 전자 신청 가능: 고용보험 웹사이트 or 모바일 앱
  • 📎 추가 서류: 육아휴직확인서, 가족관계증명서 등

주의: 중복 신청/허위 신청 시 환수 또는 제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마무리 요약

육아휴직 급여는 자녀 양육을 위한 중요한 제도이자 일과 가정의 균형을 지원하는 핵심 정책입니다.

고용보험 공식 계산기를 통해 실제 수령 가능 금액을 미리 파악하고, 육아휴직 계획을 합리적으로 준비해보세요.

육아도, 커리어도 놓치지 않는 2025년 부모의 스마트한 선택이 되시길 바랍니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