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상속 절차 쉽게 정리하기|사망 후 해야 할 일 순서대로 안내

by rimo1 2025. 4. 24.
반응형

“가족이 갑자기 세상을 떠났어요. 무엇부터 해야 할지 모르겠어요.” 상속은 복잡하고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 순서만 잘 지키면 누구나 차근차근 처리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2025년 기준 상속 절차를 가장 쉽게 정리한 가이드를 단계별로 알려드릴게요.

1. 상속 개시란?

  • 🕯 사망 시점부터 상속 개시
  • 📆 사망일로부터 3개월 이내 선택 (상속, 포기, 한정승인)
  • 💡 상속재산은 부채 포함이므로 확인이 중요

2. 상속 절차 순서 요약

  1. ① 사망진단서 또는 제적등본 발급
  2. ② 가족관계증명서로 법정 상속인 확인
  3. ③ 금융기관·부동산 등 재산 내역 조회
  4. 상속 방식 결정 (단순승인/한정승인/상속포기)
  5. ⑤ 3개월 내 가정법원에 상속포기·한정승인 신고 가능
  6. ⑥ 재산 분할 협의 및 상속세 신고 (사망일 기준 6개월 내)
  7. ⑦ 부동산·자동차 등 명의 이전

3. 상속 순위와 비율

상속 순위 상속 대상자 비율
1순위 배우자 + 직계비속 (자녀) 자녀 균등분 + 배우자 1.5배
2순위 배우자 + 직계존속 (부모) 부모 균등분 + 배우자 1.5배
3순위 형제자매 균등분
4순위 4촌 이내 방계혈족 균등분

⚠️ 유언이 있다면 유언에 따라 상속 비율 달라질 수 있습니다.

4. 상속포기 & 한정승인 방법

  • 기한: 사망일 기준 3개월 이내 가정법원 신청
  • 📄 필요서류: 제적등본, 가족관계증명서, 상속포기서 등
  • 🧾 한정승인: 상속재산 범위 내에서만 채무 인수
  • 🛑 상속포기: 전재산 포기, 해당 상속분은 다음 순위자에게

5. 상속세 신고 및 납부

  • 📅 기한: 사망일 기준 6개월 이내 신고
  • 📊 상속세 과세 기준: 5억 원 초과 (일반)
  • 💰 배우자 공제, 금융재산 공제, 인적 공제 등 세액 감면 가능
  • 📝 국세청 홈택스 또는 세무사 통한 신고 가능

6. 상속재산 이전 절차

  • 🏠 부동산: 등기소에 상속등기 신청 (필요서류: 협의서, 가족관계서류, 등본 등)
  • 🚗 자동차: 차량 등록사업소 방문 또는 온라인 신청
  • 🏦 금융자산: 은행, 증권사 직접 방문 후 상속인 확인

7. 자주 묻는 질문 (FAQ)

  • Q. 부채만 있는 경우에도 상속해야 하나요?
    → 아닙니다. 3개월 이내 상속포기 또는 한정승인 신청 시 책임 없음
  • Q. 유언장이 있으면 어떻게 되나요?
    공증 유언장은 법적 효력 우선, 없을 경우 법정 상속 적용
  • Q. 공동상속인 간 다툼이 있다면?
    재산분할 심판 청구 또는 법률전문가 상담 필요

마무리 요약

상속은 복잡하게 느껴지지만, 순서를 지켜 차근히 진행하면 누구나 처리할 수 있습니다. 특히 기한 내 신고와 선택이 가장 중요하며, 세금 문제나 분쟁 소지가 있다면 세무사나 법률전문가의 상담을 꼭 받아보세요. 상속, 더 이상 어렵지 않게 준비하세요. 📝👨‍⚖️

 

반응형